본문 바로가기
Investment/바이오 주식 스터디

바이오 주식 분석 - 삼성바이오로직스 첫번째

by _지우개 2023. 8. 14.
반응형
바이오 주식 스터디 - 삼성바이오로직스 첫번째
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최대 생산 능력과 최첨단 설비를 기반으로 바이오의약품의 초기 개발부터 임상 및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end-to-end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 당사는 cGMP를 준수하며, 고객의 다양한 수요 및 조건을 완벽히 수행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. 당사는 혁신을 거듭하며 최단 시간 내 세계 최대 생산능력 (총 604KL)을 확보하였으며, 2025년 완공 예정의 제5공장 증설 발표를 통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. 증가하는 바이오의약품의 수요와 공급간의 격차를 줄이며 바이오의약 산업을 선도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속 가능한 CDMO 파트너로서 인류의 더 건강한 삶과 미래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.

 
위 글은 삼성바이오로직스 홈페이지에 쓰여있는 글입니다.
읽어보고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어떤 기업인지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. 
 

바이오의약품의 초기 개발부터 임상 및 상업 생산을 도와주는 기업

지금부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사업에 대해서 알아가봅시다.
삼성바이오로직스는 크게 2가지의 사업을 하고있습니다.
 
1. CDMO 부문
2. 바이오의약품 부문
 

삼성바이오로직스  사업 개요

삼성바이오로직스-CDMO

CDMO란?

바이오의약품을 위탁생산하는 CMO 사업 
세포주 개발, 공정, 제형, 분석 법 등 세포주 개발~초기 임상까지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는 CDO 사업

CMO+ CDO = CDMO 

 
바이오 CDMO 시장 규모는
1)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지속 개발
2) 글로벌 제약사 및 중소형 바이오텍의 생산 분야 아웃소싱 확대
3) 제약사 대상 end-to-end CDMO service 제공 니즈 증가
4)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한 dual sourcing 수요 확보
 
2023년 기준 191억 불(24.7조원)에서 향후 3년간 연평균 12.2% 성장해 2026년 기준 270억 불(35.1조)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 
이 시장은 당사와 같이 대형 생산설비를 보유한 소수의 대형 CMO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.
2022년 말 기준 글로벌 생산 거점에 30만 리터 이상 규모의 생산 Capa를 운영 중인 회사는 총 3개 사로 당사를 비롯해 스위스에 본사를 둔 Lonza독일 Boheringer Ingelheim이 있습니다.
당사는 2023년 6월, 4공장 24만 리터 전체 가동에 성공하며 현재 총 60.4만 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글로벌 최대 규모의 생산 리더십을 지속 유지해 나갈 전망입니다. 또한, 2025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송도 내 매입한 신규 부지에 18만 리터 규모의 5공장을 증설 중에 있습니다.

CDMO 캐파 및 향후 증설 계획

 

삼성바이오에피스 - 바이오의약품

 
바이오에피스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에 중점을 두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자가면역질환, 종양질환, 안과질환, 혈액질환 등 다양한 질병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. 2012년 회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바이오시밀러 7종(레미케이드, 허셉틴, 엔브렐, 휴미라, 아바스틴, 루센티스, 솔리리스)을 출시하였으며, 미국, 유럽, 캐나다, 호주, 브라질 등 전 세계에 걸쳐 판매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이처럼 당사는 자가면역질환, 종양질환에 이어 안과질환, 희귀 혈액질환까지 바이오시밀러 제품 승인 및 상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.

또한, 당사는 안과질환 아일리아, 내분비질환 프롤리아, 면역 질환 스텔라라의 바이오시밀러도 개발하고 있습니다. 아일리아, 프롤리아, 스텔라라 세 가지 바이오시밀러 모두 임상 3상 완료 후 주요 국가에 허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당사는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사업을 확대하고, 혁신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.

삼성바이오에피스 파이프라인

 

삼성바이오로직스 - 매출현황

 

2023년 반기 매출액은 1조 5,871억원이며, 영업이익은 4,452억원입니다.

삼성바이오로직스 매출

 

주요 제품 등의 현황

2021년도에는 CDMO 매출이 100% 였지만 2023년도에 70.4%까지 줄어듬에 따라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 매출이 2021년도 0%에서 2023년도 29.6%까지 상승하며 꾸준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.
 

삼성바이오로직스 매출 추이 CDMO 수주 현황

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영업이익률 역시 바이오기업답게 30%대를 보여주고 있다.
CMO, CDO  수주 현황 역시 2017년부터 시작하여 꾸준하게 증가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.

 


<바이오 주식 분석 - 삼성바이오로직스 첫번째> 편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3년 상반기 반기보고서를 읽고 어떤 사업을 하는지 매출을 얼마나 나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.다음에는 CDMO 와 바이오의약품 중 바이오시밀러에 대해서 심도있게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합니다.
 
그럼 다음 <바이오 주식 분석 - 삼성바이오로직스 두번째> 에서 봐요

반응형